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22년 군인 봉급 표 군적금 3:1 얼마까지 모을 수 있니? 적금 해지 시 전역증을 들고 가야 하는 이유

곰아를 기다려 주신분들

오늘 제가 아주 좋은 정보를 가지고 왔습니다.

 

바로

22년 군인 봉급표와

군 적금 3:1

적금 만기 해지 시 들고 가야 하는 것에 대한

정보를 드리려 합니다.

 

최근에는 군대에서

1000만 원을 모아서 나올 수 있다고 하잖아요

정말로 모을 수 있는지

알려드리겠습니다.

최근에 신설된 사회복귀 준비금

군 적금 3:1 정말 괜찮은 제도이니

정확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현재 군인 월급은?

군인 분들의 제일 큰 관심사죠

군 월급 200만 원까지 올린다.

윤석열 당선인의 공약인데요

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

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하여

병사들 간에 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.

 

22년 현재 군인 병사 봉급표입니다.

적은 금액은 아니지만

최저시급도 되지 않아 많이 안타깝습니다ㅠㅠ

지금 22년 월급은 21년 월급과 동일하고요

20년 대비 21년 월급은

12% 인상되었습니다.

 

군 적금 3:1 사회복귀 준비금

군적금 3:1은

1월에 개설되었고요 아주 좋은 해택을

가지고 있습니다

 

총 적금한 금액의 1/3을

국방부에서 추가로 지급해주는 해택 입니다.

출처. 병무청 홈페이지

예를 들면

내가 적금 300만 원을 했으면

궁방부에서 100만 원을 지급해 줘서

총 400만 원이 생기는 좋은 제도입니다.

 

3:1군 적금은 따로 신청할 필요는 없고요

월 최대 40만 원을 적금하시면

전역 하 때 저축액 약 750만 원 + 사회복지 준비금 250만 원

총 10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.

입대하고부터 적금을 들었을 경우입니다.

 

적금 만기 시 챙겨야 하는 거

적금이 만기가 되었으면 찾으러 가야겠죠

신분증과 전역증을 챙겨야 합니다

 

신분증은 본인이 맞는지 확인을 하기 위해 필요하고요

전역증은

1% 이자 지원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챙겨야 합니다.

 

오늘은

22년 군인 봉급표를 통해 알 수 있는 군인 월급과

사회복지 준비금 3:1의 해텍

군 적금 해지 시 챙겨야 할 것들에

대한 정보를 알려드렸습니다

 

오늘 정보는 여기까지

또 좋은 정보를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!

 

감사합니다!